Available for work

스페셜 컨텐츠

링라이트 하나로 시작해서 6년 만에 550만 팔로워 모은 크리에이터의 진짜 비밀

한이룸

이커머스

2025. 11. 7.

안녕하세요, 한이룸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께 소개하고 싶은 크리에이터가 한 명 있습니다. Kinigra Deon이라는 유튜버인데요, 6년 전 링라이트 하나로 시작해서 지금은 550만 팔로워를 거느린 미디어 프로덕션 회사 대표가 됐습니다.

근데 이 분 이야기를 여러분께 하려는 이유는 단순히 "성공했네, 대단하네" 이게 아니에요. 이 사람이 브랜드랑 일하는 방식, 커뮤니티 만드는 법, 그리고 Z세대를 이해하는 방법이 진짜 제대로 되어 있거든요.

크리에이터 꿈꾸시는 분들, 특히 "브랜드 협찬 어떻게 따야 하나요?" 고민하시는 분들은 끝까지 읽어보세요. 제가 20년 이커머스 현장에서 본 것과 완전히 일치하는 인사이트가 여기 다 들어있습니다.

1. "남의 쇼에 나가는 배우는 그만두겠다"는 결심

Kinigra는 처음엔 다른 사람 유튜브에 출연하는 배우였대요. 근데 어느 날 깨달은 거죠.

"내가 왜 남의 채널에서 일해?"

그래서 자기 채널 만들었고, 링라이트 하나 들고 "남자친구가 청혼 안 해줘요" 같은 코미디 영상 찍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첫 번째 교훈: 시작은 화려할 필요 없습니다.

링라이트 하나, 스마트폰 하나면 충분해요. 문제는 장비가 아니라 "내 것을 만들겠다"는 결심이에요.

지금도 "장비 좀 더 갖춰지면 시작하려고요" 하시는 분들 많은데, 그런 마인드로는 평생 시작 못 합니다. 단언컨대.

2. 코미디에서 시네마틱 드라마까지 - 장르의 벽을 깬 순간

Kinigra가 진짜 터닝포인트를 맞은 건 "Vampire Siblings"라는 시리즈를 시작하면서부터예요.

<<이제 다섯 번째 시즌을 맞이한 '뱀파이어 형제자매'는 더 많은 출연진, 다중 세트, 현장 촬영을 통해 고품질 단편 영화로의 전환을 이루었다>>

"내가 왜 코미디에만 갇혀있어야 하지?"

이 질문 하나로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렸습니다. 시즌 5까지 가면서 앨라배마에 있는 진짜 성까지 빌려서 촬영했대요. 지금은 시네마토그래퍼 2명, 조명 감독, 오디오 엔지니어, 배우 40명이 함께 일하는 프로덕션이 됐고요.

근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그녀는 스튜디오 공사 중일 때 공사 중인 그 망가진 공간을 세트로 썼대요. "창의력으로 스토리에 맞게 만들면 된다"면서요.

이게 진짜 크리에이터의 마인드셋입니다. 완벽한 환경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지금 있는 걸로 최고를 만드는 거예요.

3. Z세대는 TV가 아니라 유튜브를 '영화처럼' 본다

여기서 저도 놀란 데이터가 나옵니다.

Kinigra 채널 시청의 70%가 커넥티드 TV에서 일어난대요. 스마트폰이 아니라 거실 큰 TV로 본다는 거죠.

그래서 그녀는 4K로 영상을 익스포트하고, "8K로 할 수 있으면 8K로 하겠다"고 말합니다. 색보정, 사운드 디자인, 모든 걸 영화 수준으로 만들어요.

Z세대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퀄리티에 민감합니다.

"숏폼이니까 대충 찍어도 되겠지" 이런 생각하시는 분들, 완전히 틀렸어요. 오히려 숏폼이기 때문에 첫 3초가 영화 오프닝만큼 중요하고, 클립하기 좋은 순간들을 전략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4. "클립 가능한 순간"을 전략적으로 설계한다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합니다.

Kinigra는 영상 전체에 걸쳐 "클립하고 싶어질 만한 순간"을 의도적으로 넣는다고 해요.

  • 웃긴 순간

  • 드라마틱한 순간

  • 감정을 극대화하는 순간

왜냐? Z세대는 자기가 본 영상 중 마음에 드는 부분을 짧게 잘라서 친구들한테 공유하거든요.

이게 바이럴의 핵심입니다.

유튜브 알고리즘만 의존하는 게 아니라, 팬들이 자발적으로 퍼뜨릴 수 있는 "밈이 될 만한 순간"들을 만들어놓는 거예요.

5. 브랜드 협찬 - "대본 주지 말고 신뢰하세요"

자, 이제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하실 부분입니다. 돈 버는 법.

Kinigra가 브랜드랑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뭔지 아세요?

"크리에이터를 믿어라"

브랜드들이 대본을 주면서 "이렇게 말해주세요" 하는 경우가 많은데, Kinigra는 단호하게 말합니다.

"그건 제 오디언스에게 진정성이 없어 보일 겁니다. 제가 스토리에 자연스럽게 녹여낼 테니 저를 믿으세요. 그게 훨씬 더 성과가 좋을 거예요."

그리고 실제로 그녀의 채널은 시청자의 96%가 다음 영상을 보러 다시 돌아옵니다.

이게 얼마나 미친 수치인지 아세요? 일반적인 유튜브 채널의 재방문율은 이것보다 훨씬 낮아요.

6. "일회성 협찬 말고 시리즈로 하세요"

Kinigra가 브랜드들에게 항상 제안하는 게 있습니다.

"영상 1개 말고 시리즈로 갑시다."

최근에는 어떤 메이크업 브랜드가 3개 영상을 요청했는데, 그녀는 6개 에피소드 시리즈를 역제안했대요.

이유가 뭘까요?

시리즈는 효과가 있다는 걸 데이터로 증명했기 때문입니다.

"The It Girls"라는 시리즈에서 메인 캐릭터들이 외모에 신경 쓰는 설정이었는데, 뷰티 브랜드랑 완벽하게 매칭되는 스토리를 만들어서 어마어마한 성과를 냈어요.

여러분, 여기서 배울 점:

브랜드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큰 그림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상 하나 찍어드릴게요"가 아니라 "이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 시리즈를 만들어드릴게요"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해요.

7. "우리는 미디어 프로덕션 회사입니다" - 크리에이터의 정체성

Kinigra가 브랜드들에게 가장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아세요?

"크리에이터들은 미디어 프로덕션 회사라는 걸 이해해주세요. 우리는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전문가입니다. 우리 오디언스가 원하는 게 뭔지 정확히 알고 있어요. 매번 그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어요.

"우리가 새로운 할리우드입니다. 사람들이 지금 보는 건 우리예요. 전통 미디어가 아니에요. 그런데 왜 광고비는 아직도 전통 미디어로 가고 있죠?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 자신감, 보이시죠?

이게 진짜 프로 크리에이터의 마인드셋입니다. "협찬 좀 주세요" 구걸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미디어 회사고, 당신 브랜드가 우리와 일하면 이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걸 데이터로 증명하는 거예요.

8. Z세대 커뮤니티 - "댓글창이 우리만의 채팅방"

Kinigra는 자기 오디언스의 70%가 Z세대 흑인 여성과 남성이라고 해요.

그리고 이렇게 말합니다.

"유튜브 댓글창은 우리만의 프라이빗 채팅방 같아요. 저는 정확히 누가 제 커뮤니티인지, 그들이 누구를 응원하는지, 뭘 보고 싶어 하는지 알아요."

다른 플랫폼에는 이런 커뮤니티 느낌이 없다고 단언합니다.

인스타그램, 틱톡, 다른 곳에도 있지만 유튜브만큼 깊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곳은 없다는 거죠.

그리고 Z세대가 브랜드 협찬을 대하는 태도도 재밌어요.

"제 오디언스는 브랜드를 보면 '오! 키니그라가 협찬 땄네! 돈 벌어! 좋아!' 이렇게 반응해요. 그들이 정말 아는 브랜드, 예를 들어 NFL 같은 거면 완전 흥분하죠."

진정성이 있으면 팬들은 여러분이 돈 버는 걸 응원합니다.

이게 핵심이에요. 팬들이 "저 사람 돈만 밝혀"라고 생각하는 건 여러분이 믿지도 않는 제품을 파는 순간이에요.

9. 소유권 - "유튜브에는 게이트키퍼가 없다"

마지막으로, Kinigra가 신인 크리에이터들에게 하는 조언입니다.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은 게이트키퍼가 없다는 거예요. 여러분은 자기 자신에게 계속 'YES'라고 말할 수 있어요. 자율성, 독립성, 그리고 소유권. 이게 전부입니다."

IP를 소유한다는 것의 힘을 그녀는 강조합니다.

전통 미디어에 가면 여러분은 출연자일 뿐이에요. 여러분이 만든 캐릭터, 스토리, 그 모든 게 회사 소유가 됩니다.

근데 유튜브에서는? 전부 여러분 겁니다.

한이룸의 정리 - 크리에이터로 성공하고 싶다면

자, 정리할게요.

제가 이 Kinigra Deon의 인터뷰를 여러분께 소개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1. 완벽한 준비를 기다리지 마세요 링라이트 하나로 시작했던 사람이 지금은 40명의 배우를 쓰는 프로덕션을 운영합니다.

2. 장르에 갇히지 마세요 코미디만 하다가 시네마틱 드라마로 확장했더니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렸어요.

3. Z세대는 퀄리티에 민감합니다 4K, 색보정, 사운드 디자인. 디테일이 차이를 만듭니다.

4. 클립 가능한 순간을 설계하세요 바이럴은 우연이 아니라 설계입니다.

5. 브랜드에게 더 큰 그림을 제시하세요 일회성이 아니라 시리즈를. 대본이 아니라 스토리를.

6. 커뮤니티가 전부입니다 96% 재방문율은 그냥 나오는 게 아니에요. 진정성 있게 소통해야 합니다.

7. 여러분은 미디어 회사입니다 협찬 구걸하지 말고, 가치를 제공하는 파트너가 되세요.

8. 소유권을 지키세요 유튜브는 게이트키퍼가 없는 유일한 플랫폼입니다. IP는 여러분 거예요.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

저는 20년간 이커머스 현장에서 수많은 브랜드들이 인플루언서 마케팅 하다가 망하는 걸 봤습니다.

왜 망할까요?

진정성 없이, 전략 없이, 데이터 없이 대충 하기 때문입니다.

근데 Kinigra 같은 크리에이터는 다릅니다. 이 사람은 자기 오디언스를 정확히 알고, 데이터로 증명하고, 브랜드에게 명확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여러분이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다면, 단순히 "유명해지고 싶다"가 아니라 "진짜 미디어 프로덕션 회사를 만들겠다"는 각오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게 2025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 살아남는 유일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