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le for work

블로그

뉴스레터 '이룸회보'발행 1년 반 회고

한이룸

이커머스

2025. 11. 6.


저는 이룸회보 라는 AI이커머스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어요.

처음엔 2주에 한번 발행했지만, 지금은 주에 한번 발행합니다.

"AI와 이커머스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자"

이런 생각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오게 되었네요.

현재 구독자 수는 3,000명이며, 평균 오픈율은 32%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껏 구독해지를 한 분이 4,500명 정도네요.

많은 분들이 구독자 정리 이유를 묻습니다.

열심히 작성한 뉴스레터가 스팸함에 들어가거나 읽지 않은 채로 쌓이면 가슴이 아프잖아요. 누군가에게 스팸이라면 매주 받아보는 것도 불편할 것 같았죠.

구독자 수에 따라 요금이 책정되는 이유도 있어요.

이메일 발송 서비스는 이걸 사용해요.

뉴스레터 서비스는 마이너한 성향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안 쓰는 컨버트킷(현재 Kit)을 사용했습니다. 시작할 당시 해외 유튜버들이 추천했어요.

우리나라 서비스는 대부분 이메일 발송에 초점이 맞춰 있지만, 해외는 고객 분석에 집중되어 있어요.

키트닷컴의 서비스 핵심은 이메일 자동화 설계로 매출을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AI 소식에 관심을 보이고 링크를 클릭한 구독자는 ‘AI에 관심 많은 사용자’로 등록됩니다. 이렇게 구독자별 구분이 가능하고, 맞춤형 소통과 필요시 홍보와 광고도 가능하게 해줍니다. 심오한 퍼널전략도 사용 가능하죠.

저는 이 개인화된 세그먼트 기능에 매료되어 열심히 사용했어요. 덕분에 매출도 많이 올랐습니다.


뉴스레터 오픈율의 비밀

스티비에서 공개한 한국 평균 뉴스레터 오픈율은 27%입니다. 즉, 내 뉴스레터가 27%보다 낮으면, 분발해야 되고 27%보다 높으면 괜찮은 성적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아요.

처음에 평균 40%를 유지하다, 구독자 수 증가에 따라 떨어지고 있어요. 현재 32%입니다. 문제는 제가 뉴스레터 작성에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있어서 투자대비 효율은 낮아지고 있어요.

그래서 여러가지로 이메일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48편의 이메일을 넣고, 오픈율이 높은 이메일을 분석했어요. 결과는 아래와 같아요.

오픈율 상위권 제목의 특징 (40~70% 이상)

① 실질적 결과·성과 중심

짧고 실행 중심이며, ‘결과’를 즉시 예고하는 제목이었습니다.

“1분에 이렇게 AI 상세페이지를 만든다”

② 숫자와 구체성 포함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면 오픈율이 많이 올라갔어요.

“3.7억 매출 쇼핑몰 이야기”

③ “비하인드 스토리형”

스토리텔링과 인물·상황 중심의 제목이 좋았습니다.

“쿠팡은 안 망할까요?”

제목과 헤드라인에 따라 오픈율과 관심도가 많이 변했습니다. 위 3가지 핵심 내용만 기억하시면 나중에 도움이 될 거예요.


뉴스레터 운영을 고민하시는 분들께

모든 콘텐츠 운영과 발행이 마찬가지예요. ‘목적’이 있으면 오래 못해요.

뉴스레터로 ‘돈’을 벌어야지라고 생각하면 오래 하기 어렵습니다. 대신, 누군가에게 도움을 준다는 생각으로 시작하면 좋겠어요.

뉴스레터 운영은 힘들어요.

저는 매주 1회를 보내는 것이 만만치 않습니다. 매주 참신하고, 재미있고,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겠다는 압박도 있어요.

결국, 뉴스레터는 저와의 약속인 것 같아요.

누군에게 도움을 주는 사명이라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해요.

뉴스레터는 유튜브와 소셜미디어와 다르게 매력적이고 어떤 미디어보다 끈끈함도 있는 것 같습니다.


짧게 쓰려고 했는데, 글이 길어졌네요.

욕심만 앞섰고, 부족한 뉴스레터임에도, 처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읽어주신 구독자님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더욱 신선하고 재미있고, 유용한 정보로 인사드리겠습니다.

한이룸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