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6개월 만에 월매출 13억을 만든 비밀 - 알렉스 홀모지

한이룸
이커머스
2025. 9. 18.
"콘텐츠는 운이 아니라 구조야. 그리고 일단 해보고, 그다음 말해."
얼마 전 이틀 만에 1,300억원의 책을 판매해 기네스북에 오른 남자가 있습니다.
사실 그는 이 전에, 6개월 만에 월매출 13억원을 달성했는데요.
그 주인공이 바로 알렉스 홀모지(Alex Hormozi)에요.
13억원은 오로직 컨텐츠 만으로 만들어냈어요.
그 놀라운 비밀을 들려 드릴 게요.
근데 여기서 놀라운 건, 이 사람이 원래 콘텐츠 하기 싫어했던 사람이라는 거예요.
유명해지는 것도,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도 별로 내키지 않았대요.
그런데 어떻게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었을까요? 그의 전체 시스템을 뜯어봤습니다.

카일리 제너가 멘탈을 터뜨렸다
홀모지가 콘텐츠를 시작한 계기가 정말 재밌어요.
어느 날 카일리 제너가 최연소 억만장자가 됐다는 뉴스를 봤대요. 그 순간 머리를 한대 맞은 것 같았다고 해요.
"나도 열심히 사업하고 있는데 왜 결과는 이렇게 다르지?"
그때 깨달았죠. 차이는 바로 오디언스였다는 걸.
더 락, 코너 맥그리거, 후다 뷰티... 이들의 공통점?
자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믿고 따르는 팬층을 만들어서 수백억짜리 회사를 만들어낸 거였어요.
진짜 자산은 제품도 아니고 시스템도 아니고, 바로 오디언스라는 걸 느꼈다고 합니다.

콘텐츠 = 구조다. 운이 아니라.
홀모지는 콘텐츠를 만들 때 처음부터 명확한 세 가지 목적이 있었어요:
1️⃣ 고급 파트너 확보
타겟: 연매출 30억원 이상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
전략: 콘텐츠로 신뢰를 쌓아서 먼저 다가오게 만들기
결과: 원하는 수준의 파트너십 제안이 계속 들어옴
2️⃣ 미래 파트너 키우기
타겟: 연매출 1-3억원 초기 사업자들
전략: 콘텐츠를 통해 성장을 도와주기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고객으로 전환
3️⃣ 경험 자산화
제프 베조스가 아마존 만들 때 매일 영상을 남겼다면?
지금 그 영상 하나만으로도 어마어마한 자산이었을 것

5단계 콘텐츠 시스템이 게임체인저였다
홀모지의 진짜 비밀은 5단계 시스템에 있었어요.
1단계: 테스트 🧪
트위터나 스레드로 아이디어 검증하기.
하루에 트윗 5개 던져서 실시간 반응으로 뭐가 먹히는지 파악해요. *"감에만 의존하면 실패 많고 시간 오래 걸린다"*는게 그의 철학.
2단계: 녹화 🎬
반응 좋은 것만 영상화.
롱폼은 깊이 있는 메시지, 쇼츠는 한 방에 꽂히는 임팩트. 쇼츠가 첫 접점이 되고, 사람들이 더 알고 싶어지면 자연스럽게 롱폼으로 넘어와요.
3단계: 삽입 🎯
자연스러운 CTA 넣기. 억지로 강요하지 말고 "도움됐다면 다른 영상도 보세요" 정도로.
4단계: 문맥화 📱
같은 콘텐츠를 플랫폼별로 다르게 편집해요.
유튜브는 정보 중심, 인스타는 감정적 연결, 틱톡은 재미 요소 가미. 같은 콘텐츠도 어디서 보여지느냐에 따라 반응이 완전히 달라져요.
5단계: 배포 🚀
여기가 진짜 핵심! 홀모지는 주 7개에서 80개로 배포량을 늘렸더니 모든 지표가 10배씩 뛰기 시작했어요.
콘텐츠 성과의 80%는 배포에서 결정된다는 그의 말이 숫자로 증명된 거죠.
돈 vs 시간,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홀모지의 현재 투자:
월 2천만원 (플랫폼별 에디터 5명)
시간은 월 2일, 주 4시간만
홀모지의 핵심 인사이트는 이거에요.
"시간과 돈 중 하나는 반드시 들어가게 되어 있어. 시간 많으면 돈 적게, 돈 많으면 시간 적게."
작게 시작하는 법:
스레드 하나만 집중
반응 좋은 것 → 쇼츠 하나 만들기
점진적으로 확장
시간 분배:
매일 아침: 마인드덤프 (트위터)
주 1회: 트위터 리뷰 (4시간)
월 2일: 집중 촬영 (쇼츠 + 롱폼 4-8개)
"How to" 말고 "How I"로 접근하기
99%가 실패하는 이유:
❌ "이렇게 하면 팔로워 늘어요"
❌ "이런 식으로 찍어야 바이럴돼요"
성공하는 1%의 비밀:
✅ "저는 이렇게 했어요"
✅ "이런 결과가 나왔어요"
왜 이게 중요한가?
사람들이 콘텐츠를 볼 때 항상 평가해요.
"이 사람이 이 얘기를 할 자격이 있나?"
경험에서 나온 콘텐츠는 그 자체로 신뢰를 얻어요.
아무리 그럴듯한 이론이라도 직접 경험이 없다면 사람들에게는 와닿지 않거든요.
홀모지의 원칙: "일단 해보고, 그다음 말한다."
한달간 수십억의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내다
홀모지는 현재 매달 수십억의 브랜드 가치를 콘텐츠 하나하나에서 회수하고 있어요.
그의 성과 수치:
1년 만에 구독자 600명 → 7만명 (117배 성장)
콘텐츠 배포량 7개 → 80개 증대
모든 지표 10배 상승 (구독자, 웹사이트 방문자, 팟캐스트 청취, 책 판매량)
핵심은 이거예요.
콘텐츠는 시간을 더 들이는게 아니라 시간을 바꾸는 방식이에요.
머릿속에서 지나가던 생각을 단지 외부로 꺼내 표현하는 훈련. 이게 콘텐츠의 시작이에요.
구독자를 위한 실행 가이드
1단계: 소규모 테스트
✔️ 링크드인, 스레드, 인스타그램에서 본인의 경험담 포스팅
✔️ 이룸라운지와 같은 커뮤티니에서 반응을 테스트 그룹으로 활용
2단계: 검증된 것만 확장
✔️ 반응 좋은 포스팅 → 유튜브 쇼츠로
✔️ 뉴스레터가 있다면 연계
3단계: 시스템화
✔️플랫폼별 콘텐츠 최적화
✔️ 교육과 연계한 종합 시스템
타겟팅 전략:
✔️ 1차 타겟: 연매출 10억+ 사업자 (고급 파트너)
✔️ 2차 타겟: 연매출 1-3억 초기 사업자 (미래 파트너)
정리하자면 홀모지가 말한 가장 중요한 것:
"콘텐츠는 운이 아니라 구조야. 그리고 일단 해보고, 그다음 말해."
경험을 시스템적으로 콘텐츠화하면 개인 브랜드가 비즈니스 인프라가 되는 거죠.
핵심만 기억하세요:
경험을 콘텐츠로 전환
타겟 명확화
시스템적 접근
콘텐츠는 단순한 브랜딩 수단이 아니라 실질적인 비즈니스 구조를 만들어주는 도구예요.
작게 시작해서 시스템 만들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