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le for work

스페셜 컨텐츠

나답게 살려면 우선 나를 버려라

한이룸

이커머스

2024. 3. 31.

젊은 시절, 아직 아마추어 시절일 때의 우리는 자기 자신에게나 다른 누구에게나, 별로 쓸모없는 존재다. 적어도 우리의 사명 을 완수하는 영역, 뭔가를 이루는 영역에서는 그렇다.

아마추어 수준에서 우리가 보유한 유일한 기술이라고 해 봤자 실수하기, 지쳐 나가떨어지기, 기회 앞에서 허둥대기, 자신의 권리를 과도하게 주장하기 등 보통 자기 앞길을 막는 행위들이다. 프로가 되고 나서야 모든 것이 변한다. 그러나 프로가 되 는 일은 결코 만만치 않다. 전문성에 이르는 길에는 여러 단계가 존재한다. 나는 처음 시작할 때부터 이 단계들에 대한 개념 을 잡는 게 중요하다고 믿는다.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다는 거다. 그림을 그리고 싶어 "창업을 하고 싶어" 영화를 찍고 싶 어'라고 말하면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가?

전문성에 이르는 3단계

내 인생에서 이 단계들이 어떻게 펼쳐졌는지에 기반해 나만의 로드 맵을 소개하겠다.

1단계는 단 1시간이라도 자리에 앉아 일할 수 있는 단계다. 비웃지 마라. 100명 중 99명은 해내지 못 하는 단계다. 이 단계는 입문 수준, 유치원 수준이다. 그럼에도 나는 7년의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고 나서야 겨우 이 단계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 사실을 오래전 맨해튼의 셋방에서 깨달 았다. 이 1시간을 반복할 수 있는 상태가 바로 2단계다. 다음 날 에도 할 수 있을까? 하루 종일은 가능할까? 일주일 동안 계속 할 수 있을까? 이 단계에서의 우리는 만화 속 물고기와 간다.

그 물고기는 원시 바다에서 튀어나와 숨죽인 채 마른땅에 처음지느러미를 내딛었다. 이는 거대하고 획기적인 순간이다. 하지 만 우리는 여전히 아가미를 지닌 채 시속 0.0001 킬로미터로 기 어가며 산소를 갈망하는 캄브리아기의 원시 물고기, 실러캔스 에 불과하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아직 '질적인 면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 당신과 내가 결국에 책, 영화, 회사 등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한 뭔가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너 무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 단계에서 우리가 하게 되는 일은 자기감정을 관리하고, 자 기 파괴적 충동을 조절하고, 역경에 처해서도 굴하지 않는 법 을 배우는 것이다(와튼스쿨이나 아이오와 작가 워크숍에는 이런 문 제의 해결법을 가르치는 수업 과정이 개설돼 있지 않기 때문에 독학하 는 수밖에 없다).

3단계는 결승선을 넘는 것이다. A에서의 시작은 쉽다. 그러 나 과연 Z에 이를 수 있을까? 마침내 '끝'이라는 글자를 새기기 까지의 과정에서 실제로 뭔가를 얻어 낼 수 있을까(처음 프로가 된 이후의 내 경험을 돌이켜 보건대, 이 과정에 또 4년이 더 걸렸다)? 우리가 장, 하나를 쓸 수 있다면, 단편 소설 한 편을 완성할 수 있을까? 단편 영화를 찍을 수 있다면, 이제 장편 영화도 만들 수 있을까?

이 단계에 이르면 더 이상 아가미로는 호흡할 수 없다. 이제 우리는 폐를 가졌고, 두 다리로 서 있으며, 완성된 문장으로 말 한다. 그리고 드디어 '품질'을 논하기 시작한다. 기교, 경험,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시장에서 통하는, 다른 사람에게 가치를 전하는, 그리고 독립적인 판매가 가능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이르렀다. 그럼 이제 프로가 된 것일까?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다. 첫 번째는 어찌어찌 해냈지만, 두 번째도 가능할까?

첫 번째 성공 이후가 더 중요하다

나는 '저항'을 스스로 창조되고 영속화된, 눈에 보이지 않고 몰 개성적이며 지칠 줄 모르는 힘이라고 정의한다. 저항의 목적은 오로지 우리가 일을 해내지 못하게, 최고가 되지 못하게, 능숙, 완벽, 관용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이다. 이 힘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사실 저항의 힘은 전문성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더욱 변화무쌍해지고 교활해진다. 저항은 첫 번째 작업에서 두 번째 작업으로 넘어가는 순간 우리를 죽 이려 든다. 이 힘은 우리를 오만하게 만듦으로써 우리를 공격 한다. 그 결과 우리는 자만하고 안주한다. 동시에 저항은 두려 움을 통해 우리를 약화시킨다. 우리에게 '달랑 히트곡 하나로 반짝 성공했을 뿐'이라고 속삭인다.

첫 번째 성공에서 두 번째 성공으로 이어지는 길은 별개의 신기원으로 향하는 긴 여정이나 마찬가지다. 이른바 '영웅의 길이다. 그 역경 안에서 우리는 스스로 일어서기도, 스스로 포기하기도 한다.

지금 우리는 커리어에 대해 말하고 있다. 당신이 작가라면, 책등에 당신 이름이 새겨진 책들로 가득한 책장을 떠올려 볼 수 있는가? 영화 제작자라면, 당신의 필모그래피가 인터넷 영 화 데이터베이스 IMIDb에 실린 모습이 그려지는가? 사업가라 면, 첫 번째 창업과 여섯 번째 실패와 아홉 번째 파산과 열두 번째 대성공의 과정을 거치면서 스스로 진화하고 새로 태어날 수 있겠는가?


과연 당신은 성공을 감당할 수 있는가? 실패 후 스스로 일 어날 수 있는가? 업무를 타인에게 위임할 수 있는가? 외부에 위탁할 수 있는가?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가? 뒤를 돌 아보고 다음 세대가 뒤이어 등장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가? 압 박을 받으면 윤리를 저버릴 것인가? 시류에 영합하고 원칙을 포기할 것인가? 세상이 변해서 책, 영화, 자선 사업이 모두 로 봇의 일이 되면 어떻게 하겠는가? 화성으로 가서 다시 시작할 수 있겠는가? 인생의 여정을 거치는 동안 '도넛 구멍이 아니라 도넛을 주시하기를 당신의 목표로 삼아라. 하지만 도넛이 뭘까? 돈인 가? 권력, 섹스, 영광, 악명인가? 봉사인가? 이타주의인가? 당 신에게는 진정으로 알리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가?

정말 프로가 되고 싶은가?

그럼 프로란 뭘까? 프로란, 자신의 주변 또는 자기 내면에서 좋든 나쁘든 그 어떤 일이 일어나도 고차원적 노력과 윤리로 무장한 채 계속해서 일을 해 나갈 수 있는 사람이다.

프로는 매일 일터에 모습을 드러내는 사람이다.

프로는 아픈 채로도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이다.

프로는 성공도 실패도 절대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이다.


내 경우에도, 결국에는 모든 것이 다 일에 관한 문제였다. 역설적이게도 프로는 단계가 올라갈수록 점점 젊어지고 순수해 진다. 물론 신경도 과민해지고 냉소적으로 변한다. 하지만 그 만큼 탁월함에 더 다가서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나아갈 수 없다. 왜냐하면 다른 일에 소진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시 간이 지나고 당신이 거듭해서 실행할수록 그 실천은 점점 더 단순해지고 자기중심적인 성격은 덜해진다. 우리는 무언가를 내놓음으로써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전문가가 된다. 그래서우리는 재능을 위해 무엇이든 내어 준다. 전문성이라는 여신에 게, 그에 이르는 과정에 스스로를 바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나 사포Sappho 또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이 작품 을 내놓을 때마다 진화하면서도 셰익스피어다움과 사포다움, 스프링스틴다움을 항상 간직하고 있었던 것처럼, 당신과 나 또 한 우리만이 들을 수 있는 멜로디에 맞춰 계속 변신해 가야 한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 어려워지고, 문턱을 넘을 때마다 더 많은 것을 내어 줘야 하기 때문이다. 당신은 정말로 이런 길을 걷고 싶은가? 혹시 누군가 당신에게 수월한 길이라고 말했던 가, 아니면 당신이 선택한 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