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le for work

스페셜 컨텐츠

휴식을 취할 것인가, 성찰을 할 것인가?

한이룸

이커머스

2024. 6. 13.

🗳️ 휴식을 취할 것인가, 성찰을 할 것인가?

  1. 하버드대학 연구팀에서는 다소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한 무더기 주면서 20초 안에 답을 맞힐 때마다 상금을 주겠다고 제안했다.

  2. 그리고 피실험자들이 답을 맞히는 경험을 어느 정도 쌓게 한 후, 연구팀은 또 다른 지시 사항을 추가했다.

  3. 연구팀은 한 그룹에게는 3분을 주면서, 자신의 성과를 되돌아보게 했다. 문제를 푸는데 특별히 효과적이라고 느끼는 전략이 있는지, 어떻게 하면 답을 맞힐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지.

  4. 쉽게 말해, ‘자기 성찰’을 요구했다. 잠시 뒤로 물러나 자신의 행동과 경험을 숙고해보도록 한 것이다.

  5. 한편, 연구팀은 다른 그룹에게는 3분 동안 그냥 쉬라고 했다. 이들은 자기 성찰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이었다.

  6. 그렇다면 자기 성찰은 과제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자기 성찰 그룹’이 ‘휴식 그룹’보다 20% 이상 많은 답을 맞혔다. 문제를 풀면서 자신이 깨달은 것과 그것을 앞으로 어떻게 적용할지 잠깐 생각해본 것만으로도 큰 성과 차이가 발생했다.

  7. 연구팀은 이후에도 비슷한 결과를 확인했다. 다른 실험에도 자기 성찰이 성과를 높이는 걸 목격한 것이다.

  8. 그리고 실험 상황뿐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도 자기 성찰의 효과를 실험했는데, 조직 구성원들에게 교육 기간 배운 점을 돌이켜 생각해보게 하자, 교제에 대한 이해 수준이 무려 23%나 높아졌다.

  9. (이처럼) 성찰적 연습의 이점은 한둘이 아니다. 먼저, 성찰적 연습은 우리가 평소에 좀처럼 하지 않은 무언가를 하게 유도한다. 잠시 멈춰서 자신의 발전 상태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다.

  10. 그럴 때 우리는, 잠시나마 아무 생각 없는 반사적 행동과 습관에서 빠져나와 정신을 번쩍 차리게 된다.

  11. 다시 말해, 자신이 한 행동의 가치를 생각해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시간을 가진 후) 잘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고, 결과물이 미흡하다는 판단이 들면 보완하거나 개설할 부분을 찾을 수밖에 없다.

  12. 또한, 성찰적 연습은 더 고차원적인 원칙을 찾도록 우리를 이끌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한다.

  13. 일터에서도 우리는 성찰적 사고를 통해 유용한 교훈을 발견함으로써 성과를 높이고 앞일을 효과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

  14. 하지만 현실에서 성찰적 연습을 목격하기란 쉽지 않다. 대부분 마감일에 맞춰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 당장 도움이 안 되기 때문에 자기 성찰의 시간을 따로 빼놓는 것이 쉽지 않으며, 또 어떤 이들은 자기 내면으로 눈을 돌려 성찰하는 일이 어색할 수 있다.

  15. 무엇보다 현실에서 자기 성찰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일터에서 이를 장려하는 규정이나 관습이 없다는 점이다.

  16. 우리는 (현실에서) 조용한 성찰의 시간을 보내는 리더를 좀처럼 찾기 힘들다. 우리는 흔히 학습을 외부로부터 우리에게 들어오는 무언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정보와 자극에 노출되면 학습이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17. 하지만 이는 반쪽짜리 진실이다. (외부에서 들어온 정보는) 성찰을 통해 되짚어볼 때 비로소 진짜 지혜가 된다.

  • 론 프리드먼, <역설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