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le for work

스페셜 컨텐츠

미드저니를 활용해 스토리텔링하는 놀라운 방법

한이룸

이커머스

2024. 9. 30.

* 해외아티클을 번역해 커뮤니티 분들에게 공유 드리고 있습니다.

키워드와 매개변수를 조합하여 미드저니 사진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합니다.

Midjourney의 스토리텔링은 가장 비밀스럽고 기대가 큰 기능 중 하나입니다.

데이비드는 여러 차례의 미드저니 오피스 아워에서 스토리텔링 기능이 2024년 말 이전에 출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기능일까요? 어떻게 작동하나요? 일급 비밀입니다.

현재 미드저니 기능으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가요?

예, 하지만 제한이 있습니다.

일부 이미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고급 프로세스 프롬프트 기술이 필요합니다. 현재 버전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도 있습니다. 피사체가 마치 3D인 것처럼 이미지 내에서 가상의 카메라를 움직이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일련의 사진을 사용하여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이미지는 일련의 사건을 통해 독자를 몰입하게 하고 주인공(주인공의 여정)의 일부가 된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을 위한 요소

  1.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대략적인 아이디어. 스토리 플롯의 윤곽을 그릴 필요는 없습니다. 머릿속의 흐릿한 아이디어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특히 엄격한 요구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처음 몇 장의 이미지가 흥미로운 스토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요하다면 실제 카메라를 들고 직접 동영상을 촬영하세요).

  2. 장면 및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사진 키워드(예: 설정 샷, 전환 샷, 컷어웨이 샷, 엔딩 장면 샷). 이러한 키워드는 장면을 설정하고 요소를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3. 카메라 각도: 광각, 평면 각도, 익스트림 클로즈업, 클로즈업 등 카메라 앵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이 을 읽어보세요. 이러한 키워드는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만들어 스토리를 더욱 역동적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스타일 레퍼런스(-sref) 및 가중치(-sw)가 있습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컬러 그레이딩, 주변 환경 및 전반적인 분위기를 포함하여 씬의 룩앤필을 일관되게 설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5. 캐릭터 레퍼런스(-cref) 및 캐릭터 웨이트(-cw)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인공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주인공의 여정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모든 구성 요소를 혼합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스토리를 만들어 보세요.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수량'을 언급하지 않은 점에 주목하세요. 이 요소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조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스토리를 만들지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 촬영

작동 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진 키워드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모든 요소를 한데 모아 장면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설립 샷: 주인공을 소개하고 배경이나 환경을 묘사합니다. 또한 캐릭터의 욕망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 촬영 설정"과 같이 프롬프트의 시작 부분에 사용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이 아닌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설정 샷"을 통해 우리의 사랑하는 주인공인 사슴을 소개합니다.

 /imagine prompt: an establishing photograph shot of a deer in the jungle — ar 16:9 — v 6.1

전환 샷: 주인공의 움직임 및 여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걷기'와 같은 다른 움직임 키워드를 추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트랜지션 샷은 주인공의 여정을 보여줍니다.

/imagine prompt: a transition photograph shot of a deer walking in the jungle — ar 16:9 — v 6.1

컷어웨이 샷:숲의 습도나 아침 이슬 등 장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의 긴장감과 위험을 소개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컷어웨이 샷은 장면에 디테일을 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imagine prompt: a cutaway photograph shot of a dew on the leave of a wild plant in the jungle — ar 16:9 — v 6.1

또 다른 컷어웨이 샷은 주인공이 여행 중에 마주친 참견쟁이 이웃을 보여줍니다.

컷어웨이 샷은 메인 스토리에서 중요하지는 않지만 스토리를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요소를 소개하는 데 사용됩니다.

/imagine prompt: a cutaway photograph shot of a deer in the jungle — ar 16:9 — v 6.1

엔딩 장면 샷:스토리를 마무리하고 마무리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 장면은 우리의 사랑스러운 주인공이 정글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imagine prompt: an end scene photograph shot of a deer in the jungle — ar 16:9 — v 6.1

모든 것 종합하기

이 글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위에 나열된 각 '요소'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Cref, Sref, 가중치 및 카메라 앵글을 전문가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 글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가 만든 가상의 스토리를 살펴보겠습니다.

스토리에는 내레이션이 없습니다.

이미지는 설명이 필요 없고 독자가 주인공의 여정을 따라갈 수 있어야 합니다.

사진을 통해 독자가 스스로 점을 연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몇 초만 시간을 내어 각 이미지를 살펴보면 이야기에 빠져들게 될 것입니다.

장면 설정

/imagine prompt: establishing photograph shot of Emily crying in front of an old house in a jungle — ar 16:9 — v 6.1

전환 장면 1

전환 장면.

/imagine prompt: transition photography shot of Emily running in the jungle, wide camera angle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ar 16:9 — v 6.1

전환 장면 2

/imagine prompt: transition photography shot of Emily running in the jungle, wide camera angle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ar 16:9 — v 6.1

전환 장면 3

/imagine prompt: transition photography shot of Emily feet walking in the jungle, ground-level angle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cw 40 — sw 40 — v 6.1 — ar 16:9

컷어웨이 장면

/imagine prompt: cutaway photography shot of poisonous snake in the jungle, close-up camera angle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sw 40 — ar 16:9 — v 6.1

익스트림 클로즈업 샷

/imagine prompt: extreme close-up photography shot of Emily face in fear and anxious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sw 20 — ar 16:9 — v 6.1

엔딩 장면 1

/imagine prompt: end scene photography shot of Emily finally found the helicopter rescue team, wide camera angle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sw 40 — ar 16:9 — v 6.1

최종 장면 2

/imagine prompt: end scene photography shot of Emily finally found the helicopter rescue team, wide camera angle — cref https://s.mj.run/v-bkWDK3plU — sref https://s.mj.run/v-bkWDK3plU — sw 40 — ar 16:9 — v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