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컨텐츠
유출된 미스터비스트 직원 핸드북

한이룸
이커머스
2025. 3. 29.
1. 문서를 쓴 목적과 기본 전제
왜 이 문서를 작성했나
가장 중요한 목표
결과 중심 문화
2. 유튜브에서 ‘바이럴’을 만드는 핵심 지표
MrBeast 채널이 중요하게 여기는 세 가지 지표:
CTR(Click Through Rate, 클릭률)
AVD(Average View Duration, 평균 시청 지속 시간)
AVP(Average View Percentage, 평균 시청률)
이 세 지표와 더불어, ‘와우(wow) 요소’를 항상 고려해야 함.
예: 굳이 필요 없어 보이는 ‘크레인을 동원한 집 이동’처럼, 다른 채널에선 쉽게 못 하는 스케일을 보여주면 시청자에게 큰 인상을 남겨, 장기적으로 채널 충성도를 높임.
3. 제작(Production)을 위한 주된 노하우
주요 프로세스 이해
“관건(critical) 요소” 집착하기
커뮤니케이션 기본 원칙
창의성으로 비용 절감하기
항상 백업 촬영일(backup day) 확보
동시에 여러 영상 준비
실패·실수는 솔직하게 인정
4. 크리에이티브(Creative)를 위한 주요 지침
“시청자가 재미있어할 콘텐츠를 만들어 나도 신난다”
스토리텔링 구조와 형식(Formats)
문화와 트렌드를 읽는 ‘정보 섭취(Information Diet)’
절대 ‘뻔한 연출’이나 ‘거짓 연출’을 하지 않는다
브랜드 딜(광고)도 콘텐츠로 만든다
5. 조직 문화와 커리어 발전
무한 성장 가능성
A-Player가 되기 위한 자세
보상 체계
6. 마무리: 핵심 키워드 정리
YouTube 우선주의: 전통 미디어 방식·영화적 완성도가 아닌, 유튜브가 지향하는 바이럴 로직에 맞춰 기획·제작.
집착적 실행력: ‘결정적 요소’를 절대 허투루 두지 않고, 백업 플랜과 매일 점검으로 실패 가능성을 낮춤.
크리에이티브 & 트렌드: 트렌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듣도 보도 못 한 요소를 과감하게 시도하며 끊임없이 새로움 추구.
데이터 기반: CTR, AVD, AVP, retention 그래프 등을 꾸준히 분석해, 다음 영상의 완성도를 높임.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무엇이든 “책임자에게 보고 → 필요한 부서와 조율” 과정을 정확하게 거치고, 복잡한 사안은 직접 대면·통화로 해결.
결과 중심 문화: 일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하루에 몇 시간을 일했느냐가 아니라, 영상 완성도(시청 지표)와 문제 해결 능력.
끊임없는 학습: 모든 실패와 경험을 누적하여 본인 역량을 높이고, 회사의 성장과 함께 커리어를 확장할 수 있음.
한눈에 보는 요약
MrBeast가 원하는 궁극적 목표: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고 유튜브에 최적화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중요 지표:
제작 팁:
크리에이티브 팁:
문화 & 커리어:
이상으로 “How To Succeed At MrBeast Production”의 전체 내용을 간추린 요약본입니다. 이 문서를 토대로 실제 업무나 창작 현장에서 문제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유연하게 적용하고 데이터·창의성·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더욱 완성도 높은 유튜브 영상을 만드는 데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